
1. 기체란?
Sizz-J
·2021. 1. 14. 21:01
모양과 부피가 일정하지 않으며 액체처럼 흐르는 성질이 있으며,
힘을 가하면 부피가 줄어드는 물질의 상태이다.
그 어떠한 물질도 '고온(열)'과 '저압(전기)'을 가하면 기체로 변한다.
액체는 가열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면서 서서히 기체로 변하고 (기화)
고체는 드라이아이스처럼 바로 기체가 나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승화)
이러한 기체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으로 공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공기는 지구를 둘러싼 기체를 말한다. 지구를 둘러싼 기체가 가득한 부분을 대기권 혹은 대기라고 한다.
대표적인 것이 공기일 뿐이지 대기권에 따라 기체의 종류 또한 달라진다. 대기권도 종류가 다양하다.
아무튼, 이 공기의 주요성분은 다음과 같다.
성분 | 화학식 | 차지하는 중량비율(%) |
질소 | N2 | 75.51% |
산소 | O2 | 23.01% |
아르곤 | Ar | 1.286% |
이산화탄소 | CO2 | 0.040% |
이것들은 대표적인 성분이고 이 외에도 수십가지의 미량 성분이 존재한다.
p.s 참고로, 우리 인간들과 동물들이 접하고 있는 대기는 대류권이라 한다.
728x90
'Science > Smart F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암모니아 가스Nh3의 위험성 (0) | 2021.04.20 |
---|---|
5. 이산화탄소 Co2의 위험성 (0) | 2021.04.20 |
4. 습도 (0) | 2021.04.20 |
3. 수증기 (0) | 2021.04.20 |
2. 온도 (0) | 202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