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Network
첵썸 (Checksum)과 CRC의 차이
https://gammabeta.tistory.com/1640 첵썸 (Checksum)과 CRC의 차이 Checksum은 데이터 전송이나 저장시 에러 검출을 위해 추가되는 작은 데이터이다. Checksum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다. CRC는 Checksum의 한 종류이다. Parity 방식 데이터의 모든 비트 또는 바이트를 XO gammabeta.tistory.com
Internet/Network
첵썸 (Checksum)과 CRC의 차이
https://gammabeta.tistory.com/1640 첵썸 (Checksum)과 CRC의 차이 Checksum은 데이터 전송이나 저장시 에러 검출을 위해 추가되는 작은 데이터이다. Checksum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다. CRC는 Checksum의 한 종류이다. Parity 방식 데이터의 모든 비트 또는 바이트를 XO gammabeta.tistory.com
Internet/Network
checkSum의 원리
https://hojak99.tistory.com/246 [네트워크] 체크섬 (checksum) [체크섬] 체크섬은 중복 검사의 한 형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단순한 방법이다. 통신에서 CRC, 즉 순환 중복 검사를 체크섬이라고도 말하는데 엄밀히 따지면 체크섬은 나열된 데이 hojak99.tistory.com
Internet/Network
패킷 헤더의 체크섬(checksum)의 필요성
IP, UDP, TCP의 헤더 포맷을 보면 checksum을 위한 공간이 존재한다. 이 부분은 패킷의 헤더가 전송되는 도중 데이터가 변조되거나 깨지는 경우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처음에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미리 헤더를 해싱하여 특정한 길이의 숫자로 서명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는 단순히 데이터가 중간에 변조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용도로서 사용된다. 또, 헤더의 체크섬 값은 헤더의 값에대해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지 몸통부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같이 계산되지 않는다. 즉, 헤더가 바뀌었다면 체크섬 값 역시 다시 계산되어야 하며 체크섬이 틀릴 경우 전송되는 도중에 만나게 되는 장비(라우터, 스위치 등등)에서 해당 패킷을 drop 시킨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환경이 워낙 안정적이고 데이터가 깨지는 경우가 거..
Internet/Network
서버 마이그레이션이란?
https://fromleaf.tistory.com/65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의 뜻!!!! 휴.....단어 정리 해야하는데 쩝... Migration(이주) - 정보기술에서, 마이그레이션이란 한 운영환경으로부터, 대개의 경우 좀더 낫다고 여겨지는 다른 운영환경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말한다. 예) 1. fromleaf.tistory.com 기존의 서버보다 더 좋은 서버로 가는 말을 뜻함.
Internet/Network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IaaS, PaaS, 서버리스, SaaS 대부분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버리스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네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중첩되어 빌드되므로 클라우드 컴퓨팅 “스택”이라고도 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무엇이고 서로 어떻게 다른지 알아두면 비즈니스 목표를 더욱 쉽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https://azure.microsoft.com/ko-kr/overview/what-is-cloud-computing/#cloud-deployment-types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초보자 가이드 | Microsoft Azure 클라..
Internet/Network
클라우드 아키텍쳐란?
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computing/what-is-cloud-architecture 클라우드 아키텍처란?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클라우드를 설계하는 방식입니다. 개별 기술을 통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생성하는 방식의 청사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www.redhat.com 그냥, 클라우드 기술 통합한다는 말임.
Internet/Network
IT관점에서 래킹과 스태킹이란?
racking and stacking을 한국어로 번역해보면 샅샅이라는 뜻 이다. racking: 벽돌 모양으로stacking: 쌓아 올리다 생산성 일반적으로 온사이트 데이터 센터에는 하드웨어 설치, 소프트웨어 패치 및 기타 시간이 오래 걸리는 IT 관리 작업 등 많은 “래킹과 스태킹(racking and stacking)”이 필요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이러한 작업의 상당수가 불필요해지므로 IT 팀은 더 중요한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시간을 투자할 수 있습니다. 즉, 이말은 하드웨어 설치, 소프트웨어 패치, 기타작업을 (racking and stacking)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알 수 있다.
Internet/Network
온사이트 데이터센터란?
온사이트는 신규 방문자가 회원가입을 하지 않는 이상 이들을 대상으로 한 이메일이나 푸쉬 메시지 등의 후속 마케팅은 쉽지 않다. 그나마 리타겟팅 광고 정도로 이탈한 신규 방문자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것이 최선책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온사이트(On-Site) 마케팅 솔루션을 활용하면 자사몰에 접속한 신규방문자를 타겟팅 해서 혜택을 제시하고 회원가입이나, 첫 구매로 유도할 수 있다고 한다. 온사이트 마케팅은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쇼핑몰 사이트에 머물고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한다는 의미인데, 온사이트 마케팅 솔루션은 접속 중인 고객 행동이나, 상황 데이터를 근거로 타겟팅 하고, 해당 타겟 고객에 맞는 마케팅 메시지를 실시간 팝업 형태로 제공한다. 데이터 센터는 엔터프라이즈 ..
Internet/Network
클라우드 컴퓨팅 작업이란?
쉽게 말하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클라우드”)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분석, 인텔리전스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클라우딩 컴퓨팅을 통해 더 빠른 혁신과 유연한 리소스를 제공하고 대규모 경영의 이익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만 요금을 지불하므로, 운영 비용을 낮추고 인프라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요구 사항의 변화에 따라 규모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https://azure.microsoft.com/ko-kr/overview/what-is-cloud-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초보자 가이드 | Microsoft Azure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