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Node.js

NPM 오류 정리

안녕하세요? NPM오류로 시간을 허비하는 일이 간혹 생기다보니... 저같은 분이 생기지 않도록 그리고 저를 위해서 NPM오류를 정리해놓으려고 합니다. 모~든! NPM 오류를 이 곳에 해결법과 함께 정리할 예정이니 이 글을 읽고 존재하는 문제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NPM Error - E404 이 문제는 NPM이 참조해야할 Node패키지의 URL주소가 옳바르지 않아서 그런 것 입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작성하여 URL을 지정하고 해결합니다. npm config set registry http://registry.npmjs.org NPM Error - NPM설치안됨, NPM연결안됨, loadldealTree, ECONNRESET, ETIMEOUT, Proxy, ENOSEL, ELIFECYC..

2021.09.07 게시됨

Data Structure/TIP

동기(Synchronous)란 정확히 무엇인가?

https://evan-moon.github.io/2019/09/19/sync-async-blocking-non-blocking/ 동기(Synchronous)는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걸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I/O와 네트워크 등 전반적으로 다양한 모델에서 사용하는 개념인 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그리고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의 차이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해보려고 evan-moon.github.io

2021.07.18 게시됨

Programming/Node.js

마이크로서비스와 노드의 연관성

http://blog.wishket.com/%EB%A7%88%EC%9D%B4%ED%81%AC%EB%A1%9C%EC%84%9C%EB%B9%84%EC%8A%A4-%EA%B8%B0%EB%B0%98-%EC%95%B1-%EC%A0%9C%EC%9E%91-%EB%85%B8%EB%93%9C%EB%8A%94-%EC%A2%8B%EC%9D%80-%EC%84%A0%ED%83%9D%EC%9D%BC%EA%B9%8C/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앱 제작, 노드는 좋은 선택일까? 앱 개발에서 마이크로서비스를 이용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들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마이크로서비스와 노드(Node.js)를 연결하면 프로젝트의 워크플로우가 어떻게 향상되며, 프로젝트에서 얻 blog.wishket.com

2021.07.15 게시됨

Internet/Network

패킷 헤더의 체크섬(checksum)의 필요성

IP, UDP, TCP의 헤더 포맷을 보면 checksum을 위한 공간이 존재한다. 이 부분은 패킷의 헤더가 전송되는 도중 데이터가 변조되거나 깨지는 경우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처음에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미리 헤더를 해싱하여 특정한 길이의 숫자로 서명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는 단순히 데이터가 중간에 변조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용도로서 사용된다. 또, 헤더의 체크섬 값은 헤더의 값에대해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지 몸통부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같이 계산되지 않는다. 즉, 헤더가 바뀌었다면 체크섬 값 역시 다시 계산되어야 하며 체크섬이 틀릴 경우 전송되는 도중에 만나게 되는 장비(라우터, 스위치 등등)에서 해당 패킷을 drop 시킨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환경이 워낙 안정적이고 데이터가 깨지는 경우가 거..

2021.06.29 게시됨

Node.js Stream 이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Programming/Node.js

Node.js Stream 이란?

스트림의 중요성 Node.js와 같이 이벤트 기반 플랫폼에서 I/O를 처리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실시간으로 들어온 입력 값을 가능한 즉시 애플리케이션에 내보내는 것이다. 버퍼 vs 스트리밍 버퍼 모드는 리소스로 오는 모든 데이터를 버퍼에 수집했다가 자원을 모두 다 읽어들인 후 콜백에 전달. 반면 스트림은 리소스에서 도착하자마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VS 스트림의 이점은 공간 효율성, 시간 효율성, 결합성이 있다. 공간 효율성 스트림은 버퍼링하여 모든 데이터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불가능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V8 버퍼는 0x3FFFFFFF바이트(1GB 정도)보다 클 수 없다. 물리적인 메모리가 부족해지기 전에 대용량 파일을 처리할 때 문제가 된다. 만약 1GB보다 큰 파일을 읽어들일 ..

2021.06.25 게시됨